윈도우를 포맷, 재설치하거나 또는 업데이트를 할 경우,
심지어는 갑자기 컴퓨터 스피커에서 소리가 안나올때가 있습니다.
이럴 경우 해결방법들을 다방면으로 소개해드립니다.
그럼, 아래에서 바로 살펴보시죠!
1.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 문제
가장 흔한 문제점 중 하나는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 문제입니다.
특히나 뜬금없이 컴퓨터 스피커에서 소리가 안 나올때,
가장 의심되는 부분이 이 부분입니다.
▶ 먼저 제어판을 켜고 장치 관리자를 엽니다.
▶ 참고로, 제어판 대신에 윈도우키(키보드의 시작 키) + R을 눌러 실행 창을 띄운 뒤,
devmgmt.msc 명령어를 입력해도, 장치 관리자를 열 수 있습니다.
▶ 장치 관리자에서 '사운드, 비디오 및 게임 컨트롤러' 부분이 사운드 카드가 있는 곳인데요.
보통은 리얼텍(Realtek)의 사운드 카드가 있을 것입니다.
여기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,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클릭합니다.
▶ 이어서 뜨는 창에서 '드라이버 자동 검색(S)'를 클릭하여,
사운드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.
2. 소리 음소거 또는 음량 설정 확인
의외로 컴퓨터에 음소거가 걸려있거나,
음량 설정이 너무 낮게 되어있는 경우도 꽤 많은데요.
따라서, 한 번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.
▶ 우측 하단에 보시면,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,
이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합니다.
▶ 그리고 '볼륨 믹서 열기'를 클릭합니다.
▶ 볼륨 믹서 창에서 음소거가 되어있진 않은 지(아래 부분 빨간색 네모 박스 확인),
소리가 너무 낮게 되어있진 않은지 확인해보세요.
▶ 이번에는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.
▶ 그럼 위 사진처럼 사운드바가 나오는데요.
여기에서도 음소거 설정이 되어있진 않은지(①).
소리가 너무 낮게 되어있지는 않은지(②) 확인하세요.
3. 스피커 연결 잭 확인(물리적인 방법)
이것도 안해봤겠냐면서 어이없어 하실 수도 있지만,
이 부분으로 해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. (최근, 이 부분으로 해결하였음. )
▶ 스피커는 데스크탑 뒷부분의 초록색 부분에 꽂아야합니다.
▶ 또한, 잘 꽂혀있다고 하더라도 빼서 다시 꼽아보면 좋은데요.
그 이유는 메인보드에서 이 잭을 스피커 출력을 위한 연결인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▶ 이런 경우, 선을 다시 연결함으로써 메인보드에서 스피커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개인적으로 메인보드에 스피커 연결을 인식시킴으로써 해결한 사례(전면 스피커 출력으로 설정)가 있습니다.
"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 "